원달러 환율은 한국 원화(KRW)와 미국 달러(USD) 간의 환율을 말합니다. 즉, 한국에서 1달러를 구입하기 위해 필요한 원화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원달러 환율은 국제무역, 여행, 투자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경제 상황에 따라 변동됩니다.
원달러 환율
원달러 환율은 외환시장에서 거래되는 원화와 달러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됩니다. 만약 외국인이 한국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달러를 구입하려고 하면, 달러 수요가 증가하여 원달러 환율은 상승하게 됩니다. 반대로, 한국인이 미국에서 물건을 구입하거나 미국에 투자하려고 할 때, 달러를 구입하기 위해 필요한 원화 수요가 증가하게 되면, 원달러 환율은 하락하게 됩니다.
원달러 환율의 변동은 국내의 수출, 수입, 여행, 외국인 투자 등에 영향을 미치며, 경제 전반적인 안정성과 발전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따라서 원달러 환율의 변동에 대한 예측과 대응은 국내 기업 및 개인의 경제활동에 있어서 중요한 의사결정 요인 중 하나입니다.
원달러 환율의 가격이 다시 상승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원달러 환율 가격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개인적으로 차트를 이용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달러 환율 전망
원달러 환율 어디까지 올라갈까?
- 추세선
추세선(Trend line)은 일련의 데이터 포인트에서 추세(Trend)를 시각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선입니다. 추세선은 주로 시간, 온도, 주가, 판매 등과 같은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데이터에 사용됩니다. 추세선은 일반적으로 선형 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계산됩니다. 선형 회귀 분석은 일련의 데이터 포인트를 기반으로 최적의 직선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직선은 데이터 포인트의 분산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계산됩니다.
추세선은 일련의 데이터 포인트에서 추세를 시각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추세선은 데이터 포인트를 기반으로 계산되므로, 새로운 데이터 포인트가 추가되면 추세선이 자동으로 업데이트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변화를 추적하고 추세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추세선은 종종 데이터의 변동성을 보완하고 추세를 더 명확하게 표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추세선은 또한 데이터의 변동성을 파악하고 추세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우선 달봉 (monthly)로 보았을때 아주 오랫동안 이어오던 추세선이 상향으로 돌파가 되었습니다. 이는 상승으로 볼 수 있는 지표 중에 하나 이겠습니다. 그렇다면 얼마나 더 상승여력이 있는가에 대한 질문을 할 수 있겠습니다.
- 엘리엇 웨이브 파동 이론
엘리어트 파동 이론(Elliott Wave Theory)은 주식 시장의 가격 변동 패턴을 분석하는 기술적 분석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론은 미국의 랄프 엘리엇(Ralph Elliott)이 1930년대에 개발하였습니다. 엘리엇 파동 이론은 가격 변동이 일정한 주기로 패턴을 형성하며, 이러한 패턴은 대체로 5개의 업무 주기(상승 추세)와 3개의 조정 주기(하락 추세)로 구성된다고 주장합니다. 이러한 엘리엇 파동의 형태와 패턴을 분석하면 가격 변동의 미래 추세를 예측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상승 (5파) 하락 (3파)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상승장과 하락장에 둘다 적용할 수 있는 이론입니다. 원달러 차트를 엘리엇 파동에 넣어보면 2007년으로부터 계속된 조정이 있어왔습니다. 하락파동을 A-B-C로 표시하였고 상승파동을 1-2-3-4-5로 표시하였습니다. 개인적인 작도를 시도해 보았고 아래 그림과 같은 결론을 낼 수 있었습니다. 지금은 상승 국면에서 조정 4파가 마무리된 것으로 보이고 있습니다. 상승 마지막 파동인 5 파동의 시작단계로 보이고 있습니다.
만약 5파동의 마지막 상승의 비율인 1.618까지 상승한다면 원달러 환율의 가격은 1,800원대의 가격까지 상승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또한, 상승 비율인 2.618의 자리까지도 상승한다면 2200원대의 환율 가격까지 상승할 수 있을 것으로도 보입니다. 물론 이렇게까지 상승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론에 의한 추측값입니다.
- 피보나치 비율
피보나치 비율은 피보나치수열에서 이어지는 두 개의 숫자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피보나치수열은 0과 1로 시작하여 이전 두 항을 더한 값을 다음 항으로 하는 수열이며, 이 수열에서 이어지는 두 개의 수의 비율은 약 1.6180339887로 수렴합니다. 이 비율을 황금비(golden ratio) 또는 황금수(golden number)라고도 합니다.
이 비율은 대칭성과 조화로움을 나타내는 예술, 건축, 자연 등에서 종종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금융 분야에서도 이 비율을 이용하여 차트나 그래프 등을 분석하거나 예측하는 데에 활용되기도 합니다.
- 피보나치 되돌림 (Fib Retracement)
피보나치 되돌림(Fibonacci retracement)은 주식 시장 분석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분석 도구 중 하나입니다. 이는 피보나치수열에서 유래된 개념으로, 주가가 상승하거나 하락할 때 그전 고점과 저점 사이의 간격을 일정한 비율로 나누어 그 비율에 해당하는 지점에서 주가가 반등하는 경향을 이용한 분석 기법입니다.
일반적으로 주가가 상승하거나 하락한 후에는 일시적으로 반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주가의 반등이 멈추거나 뒤처지는 지점에서는 다시 하락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러한 반등 지점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때, 피보나치 되돌림을 이용하여 고점과 저점 사이의 간격을 일정한 비율로 나누어, 그 비율에 해당하는 지점에서 주가가 반등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피보나치 되돌림은 일반적으로 23.6%, 38.2%, 50%, 61.8%, 76.4%와 같은 비율을 사용하여 고점과 저점 사이의 간격을 나눕니다. 이러한 비율은 피보나치 수열에서 유래되었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라고도 불리며, 이를 이용하여 지난 주가 움직임을 분석하고, 미래의 주가 움직임을 예측하는 데에 활용됩니다.
원달러 환율에 적용해 봅니다. 최근 원달러 환율이 1440원대까지 가격까지 상승했었습니다. 또한,2021년초에 1080원의 가격까지 하락한 지점을 피보나치 되돌림 비율로 정하고 얼마만큼의 비율로 떨어졌는지를 측정합니다. 0.618선에서 하락이 멈추고 다시 환율이 상승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물론 하락 파동 4파가 끝나지 않았다면 가격이 더 하락할 수도 있겠습니다만, 하락 4파가 끝난 것이라면 다음 5파를 향해 상승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비트코인 차트 분석 20221122 (비트코인 연도별 가격 차트 포함)
비트코인 차트 분석 20221122 (비트코인 연도별 가격 차트 포함)
비트코인 비트코인은 가격 하락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2021년 고점 가격은 $70,000가 넘은 가격이었습니다. 현재는 $15800 달러에 위치해 있고 이는 고점 대비 -77% 정도의 가격 하락을 보여주
tech-tech1.tistory.com
원화 달러 차트 분석 20221122 (USDKRW)
원화 달러 차트 분석 원화 환율이 1440원의 고점을 찍은 후에 단기 조정을 주고 있습니다. 아래 차트에서와 같이 달봉에서의 장기 차트에서는 삼각 수렴 차트를 상방으로 이탈한 상태입니다. 0.382
tech-tech1.tistory.com
비트코인 차트 분석 20220517
비트코인 차트 분석 20220517 루나 코인의 폭락으로 인해서 비트코인을 비롯한 모든 코인들의 가격이 크게 하락하였습니다. 장기적인 차트 관점에서 개인적인 분석입니다. 투자는 개인의 책임하
tech-tech1.tistory.com
'차트 > 환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달러환율 차트 분석 (0) | 2024.04.16 |
---|---|
2023년 9월 13일 원화 달러 환율 전망 차트 (장기 관점) (0) | 2023.09.13 |
원화 달러 차트 분석 20221122 (USDKRW) (0) | 2022.11.22 |
달러원화차트 분석 20221117 (USDKWR) (0) | 2022.11.17 |
원달러차트 (USDKRW) 20220503 (0) | 2022.05.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