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받는 급여와 실제로 받는 돈 사이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연봉 5000 만원을 받을 때 실제로 받는 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연봉에서는 세금과 보험료 같은 여러 비용이 제외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실제로 받는 돈은 연봉보다 적을 수도 있습니다.
연봉 5000 실수령액
직장인으로 일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 중에 하나가 바로 연봉입니다. 연봉 5000을 받게 되면 세전 세후 금액이 얼마인지 또한 실수령 금액이 얼마인지 알아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연봉 5000을 12달로 나누면 417만 원 정도 됩니다. 하지만 4대 보험을 포함한 세금을 내고 나면 실 수령된 금액은 417만 원보다 훨씬 적은 금액이 됩니다. 실 수령액은 358만 원 정도 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세전 세후
연봉 5000일 경우 세전으로 계산한 금액은 417만원 정도가 됩니다. 하지만 실수령 금액은 358만 원 정도 됩니다. 우선 4대 보험을 비롯한 세금을 알아보도록 할겠습니다. 국민연금, 건강보험 (요양보험), 고용보험, 근로소득세 (지방소득세) 등을 제외하고 나면 월급 실수령액은 358만 원 정도로 연 43,000,000 정도를 실수령 금액으로 받게 됩니다.
- 국민연금
- 건강보험
- 요양보험
- 고용보험
- 근로소득세
- 지방소득세
연령별 연봉 정보
2021년도 국세청 자료에 의하면 연령별 평균 연봉을 볼 수 있는데요. 연령별 평균과 함께 근로자 1인당 평균 연봉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께요 ~ 우선 2019년에는 근로자 1인당 3744만 원이 평균 연봉이었습니다. 또한 2020년에는 3828만 원이 평균 연봉이었고 2021년 평균 연봉 금액은 4024만 원이 평균 연봉이 되겠습니다.
- 2019 평균연봉 : 3744만원
- 2020 평균연봉 : 3828만 원
- 2021 평균연봉 : 4024만 원
2021년 국세청 연말정산 자료에 의한 내용입니다. 나이별로 30대 미만, 30대, 40대, 50대, 60대, 70세 이상 별로 나누어서 평균 연봉이 얼마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30세 미만 평균연봉 : 2357만 원
- 30대 평균연봉 : 4092만 원
- 40대 평균연봉 : 5031만 원
- 50대 평균연봉 : 5004만 원
- 60대 평균연봉 : 3115만 원
- 70대 평균연봉 : 2435만 원
직업군마다 연봉 차이가 크겠지만 연령 평균으로 보았을 경우에 40대 이상이 되어야 연봉 5000이 넘을 수 있다는 것을 통계를 통해서 보게 됩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봉 9000 실수령액 (월급 계산기) (1) | 2023.06.16 |
---|---|
연봉 8000 실수령액 (연봉실수령계산기) (0) | 2023.06.15 |
연봉 7000 실수령액 세전 세후 월급 (연봉실수령계산기) (0) | 2023.06.09 |
연봉 6000 실수령액 (연봉실수령계산기) 2023년 (0) | 2023.06.08 |
연봉 4000 실수령액 세전 세후 총정리 (0) | 2023.05.02 |
댓글